Table of Contents
Overview
이번 시간에는 kotlin에서 제공하는 scope 함수들을 확인해보고 각각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이 글은 모두 https://kotlinlang.org/docs/scope-functions.html 를 참고해서 쓴 글이다.
Scope Function
코틀린 표준 라이브러리에는 객체 컨텍스트 내에서 실행 가능한 여러 함수가 포함되어 있다. 함수의 시그니처들은 람다로 되어있고 이로 인해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구현할 수 있다. 코틀린에서는 이런 함수를 scope function 이라고 부른다.
코틀린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해주는 scope function은 아래와 같다.
- let
- run
- with
- apply
- also (1.1+)
- takeIf (1.1+)
- takeUnless (1.1+)
이런 scope함수를 확인하고싶으면 IDE를 사용해서 코드를 찾아도되고 https://github.com/JetBrains/kotlin/blob/master/libraries/stdlib/src/kotlin/util/Standard.kt 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scope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를 더 간결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다.하지만 scope 함수마다 적절한 사용법이 있기 때문에 이런 관례들을 지키는것이 코드를 읽는 사람들에게 더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뭐든지 과유불급이다. 이런 유용한 scope 함수들이라도 남용하면 가독성이 떨어지고 이는 곧 시스템 오류로 발전한다. scope 함수의 중첩을 지양해야한다.
기본적으로 scope 함수들은 두가지로 먼저 나눠볼 수 있다.
- 함수(
{블록}
)에서 컨텍스트 객체를 참조하는 방법this
:run
,with
,apply
it
:let
,also
this
를 사용하는 scope 함수들은 객체 멤버에 대한 기능을 호출하거나 프로퍼티를 할당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val adam = Person("Adam").apply {
age = 20 // same as this.age = 20
city = "London"
}
println(adam)
it
을 사용하는 scope 함수들은 또다른 함수의 파라미터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fun getRandomInt(): Int {
return Random.nextInt(100).also {
writeToLog("getRandomInt() generated value $it")
}
}
val i = getRandomInt()
println(i)
- scope 함수의 반환 결과
- 객체 자신을 리턴한다:
apply
,also
- 함수 타입을 리턴한다:
let
,run
,with
- 객체 자신을 리턴한다:
객체 자신을 리턴하는 apply
와 also
는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val numberList = mutableListOf<Double>()
numberList.also { println("Populating the list") }
.apply {
add(2.71)
add(3.14)
add(1.0)
}
.also { println("Sorting the list") }
.sort()
함수 타입을 리턴하는 let
, run
, with
는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val numbers = mutableListOf("one", "two", "three")
val countEndsWithE = numbers.run {
add("four")
add("five")
count { it.endsWith("e") }
}
println("There are $countEndsWithE elements that end with e.")
val numbers = mutableListOf("one", "two", "three")
with(numbers) {
val firstItem = first()
val lastItem = last()
println("First item: $firstItem, last item: $lastItem")
}
위에서 확인한 것처럼 기본적으로 scope 함수들은 모두 객체에서 코드 블록을 실행한다. 모든 함수의 파라미터 시그니처가 함수를 받게 되어있기 때문이다. 이제 각각 함수별로 어떤점이 다르고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let
let
은 객체를 it
라는 이름으로 사용하고 리턴타입은 함수의 반환 타입이다.
@kotlin.internal.InlineOnly
public inline fun <T, R> T.let(block: (T) -> R): R {
contract {
callsInPlace(block, InvocationKind.EXACTLY_ONCE)
}
return block(this)
}
let
은 주로 non-null 인 값일 경우 실행시키는 방식으로 자주 사용된다.
val str: String? = "Hello"
//processNonNullString(str) // compilation error: str can be null
val length = str?.let {
println("let() called on $it")
processNonNullString(it) // OK: 'it' is not null inside '?.let { }'
it.length
}
다른 case로 코드의 가독성 향상을 위해 제한된 범위의 scope를 만드는 경우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val numbers = listOf("one", "two", "three", "four")
val modifiedFirstItem = numbers.first().let { firstItem ->
println("The first item of the list is '$firstItem'")
if (firstItem.length >= 5) firstItem else "!" + firstItem + "!"
}.uppercase()
println("First item after modifications: '$modifiedFirstItem'")
with
with
는 객체를 this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리턴 타입은 함수의 반환 타입이다.
@kotlin.internal.InlineOnly
public inline fun <T, R> with(receiver: T, block: T.() -> R): R {
contract {
callsInPlace(block, InvocationKind.EXACTLY_ONCE)
}
return receiver.block()
}
with
는 확장하지 않는 함수 (일반 함수 처럼) 처럼 사용할 수도 있고 scope 함수로도 사용할 수 있다.
with
는 리턴타입을 제공하지 않고 블록 내에서 다른 함수를 호출할 때 사용하는것을 권장한다.
val numbers = mutableListOf("one", "two", "three")
with(numbers) {
println("'with' is called with argument $this")
println("It contains $size elements")
}
물론 객체의 속성을 사용해서 함수의 리턴 타입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val numbers = mutableListOf("one", "two", "three")
val firstAndLast = with(numbers) {
"The first element is ${first()}," +
" the last element is ${last()}"
}
println(firstAndLast)
run
run
은 객체를 this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리턴타입은 함수의 반환 타입이다.
@kotlin.internal.InlineOnly
public inline fun <R> run(block: () -> R): R {
contract {
callsInPlace(block, InvocationKind.EXACTLY_ONCE)
}
return block()
}
run
은 객체 초기화와 함수의 반환값을 동시에 구현해야 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val service = MultiportService("https://example.kotlinlang.org", 80)
val result = service.run {
port = 8080
query(prepareRequest() + " to port $port")
}
// the same code written with let() function:
val letResult = service.let {
it.port = 8080
it.query(it.prepareRequest() + " to port ${it.port}")
}
다른 방법으로 확장 함수가 아니라 일반 함수를 사용하는 것처럼 run
을 사용할 수도 있다.
val hexNumberRegex = run {
val digits = "0-9"
val hexDigits = "A-Fa-f"
val sign = "+-"
Regex("[$sign]?[$digits$hexDigits]+")
}
for (match in hexNumberRegex.findAll("+123 -FFFF !%*& 88 XYZ")) {
println(match.value)
}
apply
apply
는 객체를 this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리턴 타입은 자기 자신(this
)이다.
@kotlin.internal.InlineOnly
public inline fun <T> T.apply(block: T.() -> Unit): T {
contract {
callsInPlace(block, InvocationKind.EXACTLY_ONCE)
}
block()
return this
}
apply
는 this
타입으로 넘어오는 객체에 대한 속성할당을 할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val adam = Person("Adam").apply {
age = 32
city = "London"
}
println(adam)
also
also
는 객체를 it
라는 이름으로 사용하고 리턴 타입은 자기 자신(this
)이다.
@kotlin.internal.InlineOnly
@SinceKotlin("1.1")
public inline fun <T> T.also(block: (T) -> Unit): T {
contract {
callsInPlace(block, InvocationKind.EXACTLY_ONCE)
}
block(this)
return this
}
also
는 it
로 넘어온 객체에 대한 참조가 필요하거나 파라미터로 사용하는 경우 유용하다.
val numbers = mutableListOf("one", "two", "three")
numbers
.also { println("The list elements before adding new one: $it") }
.add("four")
takeIf 와 takeUnless
also
역시 코틀린 1.1에 추가되었지만 그 외에도 takeIf
와 takeUnless
가 추가되었다.
takeIf
는 Predicate를 받아서 만약 결과가 true라면 해당 객체를 리턴해준다. false라면 null을 리턴한다.
@kotlin.internal.InlineOnly
@SinceKotlin("1.1")
public inline fun <T> T.takeIf(predicate: (T) -> Boolean): T? {
contract {
callsInPlace(predicate, InvocationKind.EXACTLY_ONCE)
}
return if (predicate(this)) this else null
}
반대로 takeUnless
는 Predicate를 받아서 결과가 false라면 해당 객체를 리턴해주고 true라면 null을 리턴한다.
@kotlin.internal.InlineOnly
@SinceKotlin("1.1")
public inline fun <T> T.takeUnless(predicate: (T) -> Boolean): T? {
contract {
callsInPlace(predicate, InvocationKind.EXACTLY_ONCE)
}
return if (!predicate(this)) this else null
}
아래 예제를 확인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val number = Random.nextInt(100)
val evenOrNull = number.takeIf { it % 2 == 0 }
val oddOrNull = number.takeUnless { it % 2 == 0 }
println("even: $evenOrNull, odd: $oddOrNull")
takeIf
와 takeUnless
는 nullable 타입을 리턴하기 때문에 반드시 안전한 호출 (ex .?
)을 해야 컴파일이 가능하고 nullable한 값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위에서 확인했던 let
과 섞어서 사용할 경우 아주 좋다.
fun displaySubstringPosition(input: String, sub: String) {
input.indexOf(sub).takeIf { it >= 0 }?.let {
println("The substring $sub is found in $input.")
println("Its start position is $it.")
}
}
displaySubstringPosition("010000011", "11")
displaySubstringPosition("010000011", "12")
//same
fun displaySubstringPosition(input: String, sub: String) {
val index = input.indexOf(sub)
if (index >= 0) {
println("The substring $sub is found in $input.")
println("Its start position is $index.")
}
}
displaySubstringPosition("010000011", "11")
displaySubstringPosition("010000011", "12")
Scope Function 별 주요 차이점 요약
scope 함수별로 간단하게 차이점을 요약해보면 아래와 같다.
Function | Object reference | Return value | Is extension function |
---|---|---|---|
let |
it |
Lambda result | Yes |
run |
this |
Lambda result | Yes |
run |
- | Lambda result | No: called without the context object |
with |
this |
Lambda result | No: takes the context object as an argument. |
apply |
this |
Context object | Yes |
also |
it |
Context object | Yes |
[short guide]
- Executing a lambda on non-null objects:
let
- Introducing an expression as a variable in local scope:
let
- Object configuration:
apply
- Object configuration and computing the result:
run
- Running statements where an expression is required: non-extension
run
- Additional effects:
also
- Grouping function calls on an object:
with
요약
- 코틀린 std에서는 scope function을 제공해준다. 종류는
let
,run
,with
,apply
,also
,takeIf
,takeUnless
가 있다. - scope function은 각각 적합한 상황이 있기 때문에 일관성있게 사용하는게 좋을 것 같다.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ferences]